안녕하세요? 도시 브랜드 전문 기업 카리타스씽킹 대표 강병호입니다. 카리타스씽킹은 최근 서울특별시 마포구청 관광정책과의 의뢰로 홍대거리 관광브랜드 ‘레드로드’ 브랜드와 캐릭터를 개발했습니다. 현재는 경상북도 문경시청 정책기획단에서 문경시 브랜드 서체 개발 연구 용역을 진행 중입니다. 도시 서체는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 중 50개의 단체에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도시 브랜드의 디자인 구성 요소인 로고, 캐릭터, 슬로건뿐만 아니라 폰트 분야가 각광받고 있다는 증거이죠. 브랜딩을 넘어서 향후 도시 브랜드 전략 수립이나 타당성을 분석하는 컨설팅 분야로 확장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캘리그라피 이상현 작가, 캐릭터 국민 공모>
서체 디자인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서체(폰트)의 저작권료도 음원 저작권 수입처럼 통장에 입금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한국저작권위원회를 통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록을 하는 것으로 저작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서체는 폰트 파일로 관리되고 있거든요. 작곡가나 작사가처럼 저도 언젠가는 서체의 저작권을 갖고 싶네요. 폰트 디자인에 관심이 많다 보니 윤디자인 근무 당시 마포구 뉴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기도 했었습니다. 저의 첫 서체 개발의 시작이었죠. 마포구 서체 디자인개발실에 입사해서 333일간 1종의 서체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물이 마포구 ‘마포나루체’ 입니다.
마포나루체는 어떻게 개발되었나요? 개발 과정이 궁금합니다.
먼저, 개발하고자 하는 서체의 컨셉에 맞춰 낱글자를 300자 스케치해 보고, 그중 컨셉에 부합하는 글자 3개를 선정하여 다시 30자의 글자를 파생해 문장 전체에서 컨셉이 드러나는지 확인합니다. 그렇게 최종 한 가지를 선택하여 300자 정도의 문장을 만들고, 다시 약 3,000자 정도로 확장해 가는 과정을 거칩니다. 서체 디자인개발실에 계시던 팀장님(디렉터)이 가르쳐 주신 방법이었죠. 1종의 서체를 디자인하는데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자료가 나왔어요.
마포나루체는 마포구의 가장 대표적인 축제, 마포나루 새우젓 축제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되었습니다. 활기찬 축제의 왁자지껄함과 와글와글한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손으로 자유롭게 쓴 형태입니다. 디자인 시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점은, 잘 읽힐 수 있는 가독성이었어요. 당시 마포구청장님의 선택으로 최종 마포체로 채택되었습니다.
공공기관, 지자체와 협업을 위한 카리타스씽킹의 노하우가 있을까요?
저는 한국표준협회 지속가능도시추진단 소속의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전국 40개 지역 지자체 산하 도시재생센터 등과 업무를 진행해 왔습니다. 도시재생센터에서 브랜드 개발 일을 40건 정도 하며 시, 군청 담당자와의 관계가 형성되었고, 제가 해왔던 경력들도 자연스럽게 홍보가 됐습니다. 이후 사업 문의로 이어지면서, 한국표준협회에서 진행하지 않는 과업들은 카리타스씽킹으로 연결하게 되었습니다. 협회의 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이 저의 노하우이겠네요!
서체를 포함해서 도시 브랜드는 왜 중요한가요?
지속가능한 도시가 되려면 인구수가 중요합니다.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 관광 인구. 어떻게 모을 수 있을까요? 사람들에게 도시를 매력적으로 인지시키는 방법으로는 색채나, 그래픽 패턴과 연결된 로고 디자인이 있습니다. 대표 사례로는 일본 요코하마의 흰색도시 ‘미라토미라이21 프로젝트’와 포르투갈의 포르투 화이트스튜디오가 만든 ‘포르토 프로젝트’가 있죠. 도시의 아이덴티티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어 계속 바뀌긴 하겠지만, 사람을 끌어모으기 위한 도시 브랜드 개발은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에 경기도 부천시가 우리나라 최초로 로고를 만들었습니다. 도시 브랜드 로고, 캐릭터, 색상, 서체(CIP)를 사용해 이미지 통합화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때 서체는 200자 정도 이미지로 개발했었는데 사용성은 많이 낮았죠. 그 후 2003년 전라북도 김제시가 최초로 글자체를 디지털 폰트로 2,350자 국문, 94자 영문, 984자 특수문자가 다 구현 가능한 한 벌의 폰트로 제작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50개의 지자체가 서체를 개발하고 있죠. 특히 최근 코로나19 기간 동안에 27개의 지자체가 도시 서체를 신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광고 홍보 도구와는 달리 서체는 디지털 폰트여서 한번 개발한 후에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도시 브랜딩 시 선호도가 높습니다.
<경상남도 마을기업 공동브랜드 마을담아>
10년 뒤, 디자인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요?
지금 디자인 시장의 종사자는 약 35만 명이라고 합니다. 10년 뒤는 어떨까요? 더욱 늘어나겠죠. 디자인 분야 종사자는 직접적인 디자인 전공자뿐 아니라 디자인 툴에서 자유로워진 상태에서 누구나 디자이너라고 이야기하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넘치는 디자인 인력들 사이에서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이해와 감정, 예술이나 자연에서 오는 경외감, 맥락 있게 컨셉을 만들어 고객을 설득하는 논리적 사고가 필요할 것입니다. 거기에 더해,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기술 수용력 외에도 사회에서 해결해야 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고민해야 하고, 변하지 않는 사람의 욕구나 필요, 만족과 행복, 사랑과 고통에 대한 인문학적 사고들을 더 깊게 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 출처 - 디자인소리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업적 용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비상업적 용도의 경우, 출처(링크포함)를 밝힌 후, 내용의 변경없이 게재할 수 있습니다.